728x90

기초회계 3

전산회계 2급, 전산회계 1급, 전산세무 2급 취득순서 답변

안녕하세요. 요즘은 제 주변에도 회계공부를 막 시작하는 인원이 생기기 시작했네요. 그래서인지 사람들이 회계 자격증에 대해 물어보고, 나 이 정도 했는데 "어떤 자격증부터 딸까?"라는 질문을 저에게 많이 합니다. 그래서, 주변인들의 말을 들어보면, 학교에서 배우는 회계원리 혹은 기초회계를 했다고 하기도 하고, "회계 노베이스인데 전산회계 1급부터 해도 될까?"라고 많이 물어들 봅니다. 이건 순수 제 100% 의견이니 너무 신뢰하시지 않아도 됩니다. "회계 노베이스인데 전산회계 1급부터 시작한다."라는 질문의 답은 "기초회계부터 해라" 혹은 "전산회계 2급"부터입니다. 개인적으로 모든 공부가 그렇지만, 회계 같은 경우는 베이스가 굉장히 탄탄해야 된다고 생각합니다. 물론 "OOO은 노베이스인데 전산회계 1급 ..

회계원리-결산조정분개(발생항목)

안녕하세요 저는 이제 학교 기말고사가 끝났지만, 이번 주 토요일까지 제출해야 할 과제가 남았네요...(하아) 하지만, 할게 많아도, 오늘은 전에 포스팅했던 결산조정분개 부분 중 발생항목을 끝내 보고자 이렇게 글을 적습니다. 위의 사진을 보시면 아시다싶이, 결산조정분개가 회계원리 기본개념 중 막바지 부분이라 많이 어려우실 거입니다. 그래도 포기하지 마세요!! 전 포스팅에도 말씀드렸다시피 결산조정분개는 아래 표처럼 나뉜다고 했죠? (이연항목 잊으셨다면, 꼭 다시 보고오세요! 회계는 휘발성이 강해서 자주보셔야 됩니다!) 1) 이연항목 비용의 이연 : 비용에서 차감하여 자산으로 인식(예: 선급비용) 수익의 이연 : 수익에서 차감하여 부채로 인식(예: 선수수익) 2) 발생항목 비용의 발생 : 비용의 인식과 함께 ..

회계원리- 결산조정분개

안녕하세요 오늘은 회계원리에서 개인적으로 가장 헷갈리는 부분을 다뤄볼까 합니다. 제가 가장 헷갈려하는 부분은 결산조정분개인데, 이 부분은 제가 공부할 때마다 항상 헷갈리더라고요. 그래서, 다른 분들도 헷갈릴 수 있다고 생각하여, 제가 나름대로의 방법으로 정리를 해보았습니다. 결산조정분개가 왜 일어나는지는 그 전 포스팅에 올렸으니, 그 부분은 먼저 숙지해주세요!! 우선, 결산조정분개의 종류입니다. 1) 이연항목 비용의 이연 : 비용에서 차감하여 자산으로 인식(예: 선급비용) 수익의 이연 : 수익에서 차감하여 부채로 인식(예: 선수수익) 2) 발생항목 비용의 발생 : 비용의 인식과 함께 부채를 인식(예: 미지급 비용) 수익의 발생 : 수익의 인식과 함께 자산을 인식(예: 미수수익) 3) 추정항목 재무상태와 ..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