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법인세 5

2020.12.27 전산세무 1급 법인세 (충당금+마무리)

안녕하세요!! 오늘의 포스팅을 끝으로 전산세무 1급 법인세를 마무리 지어 보려고 합니다. 제가 법인세 공부하며 정리하고자 올린 포스팅인데, 많이들 봐주셔서 항상 감사합니다. 다들 열심히 하셔서, 2월 전산세무 1급 합격해서 옵시다! 이제 시작할게요! 충당금 세법은 손익인식기준으로 권리의무확정주의를 채택하고 있어 미확정비용인 충당부채를 인정하지 않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하지만, 퇴직급여충당금, 대손충당금 등 일정 한도에서 손금으로 인정하고 있다. 퇴직급여충당금-사내적립제도 퇴직급여충당금이란 임직원의 퇴직급여에 충당하기 위해서 설정하는 충당금을 뜻함. 법인이 퇴직연금을 납부하지 않은 경우에도 퇴직급여충당금 설정 가능함. 퇴직급여 충당금 결산조정사항!! 퇴직급여충당금 한도액 MIN(ㄱ,ㄴ) ㄱ.급여액 기준:..

2020.12.26 전산세무 1급 (자산, 부채 평가, 감가상각)

안녕하세요. 오늘의 전산세무 1급 포스팅은 자산, 부채 평가 그리고 감가상각의 방법에 대해서 말씀드려보고자 합니다. 우선, 세법에서는 자산의 평가를 원칙적으로는 "원가법"에 의해 진행합니다. 하지만, 우리는 자산을 취득할 시, 여러 가지 부대비용 등이 섞이게 되죠. 그럼, 이런 부대비용들의 처리는 어떻게 할까요? 결론을 말하자면, 대부분의 자산을 취득할 시 부대비용은 자산의 취득원가에 가산되어 나타나게 됩니다. 항상, 그렇듯 이렇게 일반적인 경우만 있으면 공부가 쉽지만, 우리는 이러한 일반적인 사항 외에도 다양한 상황들이 발생하게 되죠. 그럼, 이제 이러한 다양한 상황들 중 제가 눈여겨보는 것을 말씀드리겠습니다. 1. 고가매입 고가매입은 법인이 자산을 시가보다 고가로 매입한 경우 양도자가 특수관계인이면 ..

2020.12.25 전산세무 1급- 익금과 손금의 귀속시기

안녕하세요. 요즘, 코로나 확진자 수가 줄어들 기미가 보이지 않네요... 이번 연도 마무리는 좀 난잡할 거 같네요.. 서론은 이제 마무리하고 오늘 전산세무 1급 포스팅 6번째, 익금과 손금의 귀속시기 시작하겠습니다. 여러분, 제가 항상 회계와 세무의 가장 차이점에 대해 이야기하는데 기억하시나요? 바로, 회계는 "발생주의", 세무는 "현금주의"라는 차이점입니다. 세법-권리의무확정주의 권리의무확정주의란 익금은 수취할 권리가 확정된 시점에서, 손금은 지급할 의무가 확정된 시점에서 인식하는 것을 말합니다. 그러니, 미확정 수익과 비용은 세법에서 인정되지 않는 것 이죠. 그렇다면 이제 품목별 손익의 귀속시기를 알아봅시다. 1. 자산의 판매 양도손익 가장 대표적인 손익의 예이죠 1) 원칙 구분 손익의 귀속시기 일반..

2020.12.23 전산세무 1급- 법인세(익금과 익금불산입)

안녕하세요. 오늘의 법인세 포스팅 4번째 익금과 익금불산입입니다. 익금이란 무엇이죠? 익금이란 법인의 순자산을 증가시키는 수익의 금액을 말하며, 자본의 납입과 익금불산입 항목은 포함하지 아니한 것. 회계상에서는 수익에서 비용을 차감하여 이익을 계상하고, 세무에서는 익금에서 손금을 차감하여 과세표준을 구하는 기초가 되죠. 즉, 쉽게 말해서 익금은 세무상 수익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하지만, 이 익금은 회계상에서는 수익으로 인정이 되나, 세무상으로는 익금으로 치부하지 않는 것들이 많습니다. 제가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예시들을 한번 같이 보겠습니다. 익금 1. 자산의 양도금액 첫 번째는 자산의 양도금액입니다. 회계상에서 자산의 양도금액은 양도가액과 양도자산의 장부가액의 차액을 처분이익으로 보나, 세법은 총액법..

전산세무 1급 - 법인세 총설

안녕하세요. 어제 과제를 끝으로 이제 대학교가 종강을 맞이했네요. 사실, 요즘 과제한다는 핑계로 지금까지 전산세무 1급 공부를 게을리한 거 같아서 오늘부터라도 다시 열심히 해 내년 2월 시험 치루고, 합격해서 합격후기까지 올려보도록 할게요!! 이제부터, 길면 일주일, 짧으면 2일이나 3일에 한번 제가 전산세무 1급 공부한 것을 티스토리에 올려서 정리해보고자 합니다. 제 정리가 도움이 됐으면 좋겠네요. 그럼, 오늘 포스팅 "법인세" 총설 시작하겠습니다. 1. 법인세란? 법인세는 쉽게 말하면, 개인이 소득에 과세를 하는 조세를 소득세라 하듯, 법인의 소득에 대하여 과세하는 조세입니다. 즉, 쉽게 말하면 기업들이 자신의 소득에 대해 과세하는 조세, 기업이 내는 세금이라고 저는 간단하게 여깁니다. 그렇다면, 과..

728x90